숭덕고에 계시는 장광재 선생님께서 작성하신 내용입니다.
입시밴드에 올라온 내용인데, 모든 분들이 알고 계셨으면 하는 생각에 전문을 올립니다.
많이들 보시고, 앞으로의 입시에 대한 생각을 바꾸었으면 하는 마음입니다.
관련 파일도 하나 추가합니다.


2018학년도 서울 7개 대학 입시안 정리_20160401_수정.xlsx



[2018학년도(고2부터) 잡다한 기사 대신 한방에 정리]

2018학년도 대입전형 발표대학 오늘까지  [숭덕고 장광재]
- 서울대 수시 78.4%로 2017에 비해 1.7% 증가. 정시 1~2등급간 -0.5로 수능영어 무의미함(영어 감점)
- 연세대 수시에서 학생부종합전형을 대폭 늘림(681명에서 1019명으로), 정시 1~2등급간 -5점, 2~3등급간 -7.5점으로 영어 1등급 아니면 정시 지원 불가(영어 100점 만점)
- 고려대 수시 85%로 2017에 비해 10% 증가. 1~2등급간 –1점, 2~3등급간 –2점으로 정시 수능 영어 영향력 있음(영어 감점)
- 서강대 수시 80.1%로 2017에 비해 8% 증가. 1~2등급간 –1점, 2~3등급간 –3점으로 정시 수능 영어 영향력 있음(영어 100점 만점)
- 이화여대 2018 정시 등급간 –10점으로 1등급 아니면 지원 어려움(영어 250점 만점). 100점으로 환산시 등급당 –4점임.
- 부산대 2018 정시 1~2등급간 –2점, 2~3등급간 –3점, 4등급부터 -5점으로 정시 수능 영어 영향력 있음(영어 200점 만점). 100점 만점 환산시 –1,-1.5, -2.5점임
- 부경대 2018 정시 1~2등급간 –5점, 2~3등급간 –6점, 4등급 –7점, 5등급부터 -10점으로 정시 수능 영어 영향력 있음(영어 100점 만점)

정리하면
- 전반적으로 수시의 비율이 급격히 증가함
- 정시로 대학가는 시대가 끝남. 특히 수시전형이 고려대학교 10%, 서강대학교 8%가 증가함으로써 상위권 대학교 정시전형은 패자부활전 내지 재수생들 몫으로 남겨짐.
- 쉽게 말하면 수시에서 가다 가다 못가면 정시로 가야함
- 수시에서 학종의 급격한 증가와 고대 논술폐지로 인한 논술전형의 영향력 감소
- 논술전형의 갑은 고려대학교였음. 고려대학교의 논술폐지는 그동안 상위권 대학 수시전형의 큰 축인 논술전형의 하락을 알리는 신호(?)
- 대학들이 학종을 늘리는 이유는 매우 다양함. “정량적 지표 위주의 평가를 지양하고 교내 교육활동을 통해 미래 인재로서 성장 잠재력을 갖춘 인재를 선발하기 위한 차원”일수도 있고, 아닐수도 있음
- 수능 영어절대평가와 맞물려 수시 수능최저학력기준이 완화되는 추세임-갈수록 수능 영향력 약화
- 상위권 대학교 원래부터 영어 원점수 90점 이하 지원이 불가능 했음. 1~2등급 사이 점수를 많이 주든 말든 90점 이하는 원래 서울 상위권 대학 못 들어갔음. 그래서 어떻게 점수를 부여하든 의미 없음
- 자꾸 상위권 대학 1~2등급간 점수 부여로 영어의 유불리를 말하는데, 다시 말하지만 영어 원점수 90점 이하는 서울 상위권 대학 원래 못갔음
- 단, 지방 국공립대학의 경우 영어가 절대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 영어 1등급이면 무조건 지방 국공립 대학 정시에 유리한 고지를 점할 수 있으며, 특히 난이도가 조금 어려울 경우 영어에 의해서 당락이 좌우되는 기이한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100%임

그러면 어떻게
- 현 고2 학생들은 수시전형 준비에 올인해야 함(특히 상위권은 무조건)
- 특히 상위권은 수시전형 중에서 학생부종합전형이 준비되지 않으면 인생이 힘들어질 가능성이 높음
- 부정하고 싶어도 학생부가 대학을 좌우하는 시대가 도래함
- 상위권 학생(안정적으로 영어 원점수 기준 90점 이상이 나오는 학생)들이 영어 수능 준비만 계속하는 것은 패망의 지름길임
- 상위권은 영어와 관련하여 학생부에 어떤 내용이 적힐 것인가? 어떻게 해서 학생부에 영어와 관련된 활동들이 적혀야 할 것인가에 집중해야 함
- 내신 3~4등급 이하의 학생 중 지방국공립대학에 진학 하고자 하는 학생이라면 영어 수능 준비에 최선을 다해야 함
- 지방 사립대학은 여전히 수시에서 80~90%를 선발할 것임. 거의 내신전형이므로 그냥 내신준비 하면 됨
- 수도권 대학이나 중위권 대학은 정시 비율이 아직 적당하게 남아 있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수능 준비도 신경을 써야 함.

결론
- 일선 고등학교 여전히 혼란스러움

Jangssaem^^

시간이 지날수록 발전하는 것처럼
학생부종합전형도 매년 진화를 거듭하고 있습니다.
최근의 추세는 
"소논문(Research & Education)을 작성하지 않으면 학생부종합전형이 어려울 수도 있다"라고 얘기들 합니다.


제 생각에는 꼭 그렇지는 않지만,
소논문을 통해 전공에 대한 의지를 보이고
아주 조금이나마 전공에 대해 진행한 학습을 보여줄 수 있다면
기대 이상의 결과를 얻을 수 있다고 생각은 합니다.
당연히 제 아들에 대해서는
전공과 관련된 프로그래밍 소논문 몇 가지를 준비할 겁니다. ^^


소논문을 어떻게 쓰는지
완성된 소논문의 품질은 어느 정도인지.. 궁금한게 많았습니다.
전라남도 교육청에서 2015년에 발간한 자료는
6개월의 기간동안 선생님과 학생들이 함께 준비한 성실한 자료입니다.
대외적으로 발표를 고려해서 시행된 계획이라서
소논문의 주제 및 품질은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소논문을 썼다고 해서
해당 학생이 논문 주제에 대한 전문가로 인정 받을 수는 없습니다.
다만 논문을 작성하는 기간 동안의 성실함과 준비과정을 통해
얘기할 수 있는 꺼리가 많아집니다.
반드시 직접 작성해야 하고, 
사설기관에 의뢰할 경우 심층 면접에서 드러날 수밖에 없습니다.


소논문은 학생부에 기재 가능하고
대교협 공통문항에서도 기재 가능하고, 
자기소개서와 추천서에도 기재 가능합니다. 그래서, 다들 준비하나 봅니다.


 첫 번째 자료는 용량이 너무 커서 소사고등학교의 해당 페이지를 링크합니다.
클릭하시면 해당 파일이 있는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소논문쓰기동아리논문집] 논문집(최종수정완성)_20150130.pdf


두 번째 자료는 용량이 작아서 직접 첨부합니다.

광주교육청-소논문책자.pdf


누군가 밴드에 올려놓은 글 중에서
정말 좋은 학생부 관련자료를 찾았습니다.
대부분의 자료는 입시전문가라고 하는 분들이 올려놓은
믿음이 가기는 하지만, 뭔가.. 그러니까.. 음..


지금 자료는 젊은 세대에 맞게
파워포인트 형태로 학년별로 준비해야 하는 것들을 명확하게 정리하고 있습니다.
고려대 경영학과에 다니는 학생의 자료를 토대로
공블러(www.gongbler.com)에서 재구성한 내용입니다.


김예림 멘토는 공블러에서 활동하는 
중고생 멘티를 지도하는 대학생 멘티입니다.
참고로 개인적인 친분은 전혀 없습니다. ^^


공블러에 대한 소개는 
대학입시/웹사이트의 "공블러(gongbler) - 같이 공부할래?"에 소개해 두었습니다.


아래 링크를 클릭하면, 해당 사이트로 이동합니다.
김예림 멘토의 학생부 학년별 준비법


아래 링크를 클릭하면, 김예림 멘토의 원본 사이트로 이동합니다.
[고경멘토's 세번째 칼럼 - 생기부] 생활기록부 본격 탐구



고용노동부에서 2015년에 발간한 직업 관련 파일입니다.
직업 관련정보는
청소년이 자신의 전공을 선택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합니다.
좋아하는 것이 무엇인지
첨부한 파일을 통해서 대략적으로나마 살펴보길 희망합니다.


파일 용량이 너무 커서 직접 첨부하지 못했습니다.
꼭 아래 링크를 클릭해서 워크넷 사이트로부터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 보시길 희망합니다.


워크넷 직업정보서


2013_청소년이 궁금해 하는 99가지 직업이야기.pdf
2014_직종별직업사전웹등재용.pdf
2015_미래를 함께할 새로운 직업(최종).pdf
2015_창직통합본(단면).pdf
2015_한국직업전망.pdf

교육시민단체인 "교육통계센터 사교육걱정없는세상"에서 2015년 7월 23일 게시한 문서입니다.

이곳을 클릭하면 해당 사이트로 이동합니다.



교육부에서 2014년 말에 발간한
초중고 학교생활기록부 진로활동 연계 기록을 활용한 진로지도 매뉴얼입니다.


자료를 이것저것 많이 찾아놨는데
정리 차원에서 공유하려고 올리고는 있지만,
무슨 자료가 이렇게 많은지 모르겠습니다.
다 볼 수도 없고..


진로지도매뉴얼-합본 (1).pdf


교육부에서 2105년 7월에 대학용으로 발간한
2016학년도 대입전형자료 온라인 제공 시스템 사용자 설명서 안내책자입니다.
나이스에서 배포하던 자료인데
현재는 링크가 깨져서 다운로드 받을 수가 없습니다.


2016UnivUserMan.pdf


대교협에서 배포하고 있는 
129페이지 분량의 학생부종합전형 안내책자입니다.
현직 입학사정관을 자문위원으로 구성해서
수험생들이 가장 궁금해 하는 내용들에 대한 답변을 해주고 있습니다.


올릴 수 있는 파일 용량이 10MB여서
부득이하게 7개의 파일로 분할해서 올렸습니다.


이곳을 클릭하면 대학입학정보 사이트로 이동합니다.
해당 사이트에서 한 개의 파일로 받으면 더 좋을 것 같습니다.


대교협-100문_100답-펼침.zip


대교협-100문_100답-펼침.z01


대교협-100문_100답-펼침.z02


대교협-100문_100답-펼침.z03


대교협-100문_100답-펼침.z04


대교협-100문_100답-펼침.z05


대교협-100문_100답-펼침.z06

교육부에서 2015년 3월에 발간한
중고등학교 생활기록부 기재요령 책자입니다.
전체 241페이지로 구성되었습니다.


2015_학교생활기록부(중고등학교).pdf


한국대학교육협의회에서
2015년 7월에 발간한 2017학년도 서울권 대학입학정보 자료입니다.


가톨릭대학교, 감리교신학대학교, 건국대학교, 경기대학교(서울), 경희대학교, 고려대학교, 광운대학교, 국민대학교, 그리스도대학교, 덕성여자대학교, 동국대학교, 동덕여자대학교, 명지대학교(서울), 삼육대학교, ​상명대학교, 서강대학교, 서경대학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서울교육대학교, 서울기독대학교, 서울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여자대학교, 성공회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성신여자대학교, 세종대학교, 숙명여자대학교, 숭실대학교, 연세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장로회신학대학교, 중앙대학교, 총신대학교, 추계예술대학교, 한국성서대학교, 한국외국어대학교, 한국체육대학교, 한성대학교, 한양대학교, 한영신학대학교, 홍익대학교


2017_susi_3-1_seoul.pdf


+ Recent posts